세이노의 가르침
-
세이노의 가르침>내 학력이 초라하게 느껴질 때(14번째 필사)세이노의 가르침 2025. 3. 30. 10:54
14번째 필사 2022 부자가 되려면 학교 공부를 열심히 해야 하는가예전에는 미국 경제 자비 포브스가 발표한 내용을 보면 세계 400대 거부 가운데 58명은 대학을 가지 않았거나 중퇴했다. 그러나 이들의 재력은 평균 48억 달러로 전체 평균 18억보다 훨씬 더 많았으며, 미국 동부의 사립 명문데 아이비리그 출신자들보다 평균 2배 더 많았다. 즉 학력이 좋지 않은 사람들이 돈은 더 많이 벌었다는 말이다. 실제로 유명한 자수성가형 부자들을 보면 학력이 좋은 사람이 드물다. 국내 재벌 1세들도 그렇다. 재미있는 것은 학력과 학벌이 화려한 사람들이 들어가고자 애쓰는 회사들이 대부분 학력이 짧은 사람들이 많은 회사라는 점이다. 이 사실은 부자가 되려면 학교 공부를 하지 말라는 뜻일까? 헛소리하지 말라. 특출한 능..
-
세이노의 가르침>내 학력이 초라하게 느껴질 때(13번째 필사)세이노의 가르침 2023. 9. 4. 16:09
13번째 필사 2022 학벌 좋은 사람들이 알아야 할 것 일류 대학을 다닌다고? 외국 유명 대학에서 유학 중이라고? 최고의 학력과 학벌을 이미 갖추고 있다고? 축하한다. 고생 많았다. 학력과 학벌이 좋으면 일단을 '봉급생활자로서 달리기를 해 볼 수 있는'출발선이 다른 사람들보다 앞선 위치에 주어지게 된다. 당신은 당연히 학력과 학벌을 중시하는 집단으로 가야 한다. 배경도 있다면 공기업에 들어가면 더욱 좋다. 아시아 지역에서 학력과 학벌이 좋은 사람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가장 큰 문제는 엘리트 의식이다. 한국이건 일본이건 교육 방식은 암기식 위주이다. 암기식은 암기 능력이 우수한 사람들만을 우수한 엘리트로 대접하고 청의적이나 응용력이 뛰어난 사람들을 열등감 속에 빠뜨리는 아주 잘못된 교육 제도이지만 ..
-
세이노의 가르침>내 학력이 초라하게 느껴질 때(12번째 필사)세이노의 가르침 2023. 9. 1. 14:55
12번째 필사 2022 학력이나 학벌이 빈약한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 1. 학력(어느 수준까지 공부했는가를 말한다)은 있는데, 학벌(일류 대학을 나왔느냐를 따진다)이 떨어지는 사람은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학벌이 중시되는 집단은 가능한 한 멀리해라. 한국 사회에서 학벌과 학력은 파벌을 만드는 구심점이 되며 당신을 환영하지 않는다. 학벌이 신통치 않으면 학력이 아무리 좋아도 일단은 제쳐진다. 학벌 쟁쟁한 인사권자들이 이류대 졸업자들의 서류들을 거들떠볼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말이다. 이 사실을 모르면 이류 학벌로 기를 쓰고 일류 학벌 집단에 들어가려고 애쓰다가 좌절하거나, 그 집단에 별의별 방법을 다 동원하여 들어간다고 해도 외톨이 신세가 되고 만다. 자기 자신은 스스로 능력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고 자신하여도..
-
세이노의 가르침>1부 앞길이 보이지 않을 때(11번째 필사)세이노의 가르침 2023. 8. 31. 16:14
11번째 필사 2022 10분 이상 고민하지 말라 어니J. 젤린스키의
-
세이노의 가르침>1부 앞길이 보이지 않을 때(10번째 필사)세이노의 가르침 2023. 8. 30. 13:43
10번째 필사 2022 건강을 잃으면 모든 것을 잃는다고? 나는 부자가 되고 싶어 하는 사람들에게, 일과 관련된 공부를 할 때는 피를 토하는 자세로 하라고 한다. 특히 삼십 대 중반 이전에는(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적오도 2~3년 동안은(길면 길수록 좋다) 그렇게 살아야 한다고 말한다. 길거리에서 허비하는 시간이 없어야 하므로 최대한 일터나 학교에 가깝게 살면서 시간을 아끼고, 밥을 많이 먹어서 졸려서 책을 제대로 읽지 못하므로 밥을 굶거나 조금만 먹으라고 한고(내가 밥을 굶으라고까지 하는 것은 실제로 쫄쫄 굶으라는 뜻이 아니라 밥 대신 다른 것을 간단히 먹으라는 뜻이다), 시간을 철저하게 아끼려면 라면 하나를 끓여 먹는 시간도 아껴야 하므로 그냥 생으로 씹어 먹으라고까지 말한다(너무했나? 실제로 나는 ..
-
세이노의 가르침>1부 앞길이 보이지 않을 때(9번째 필사)세이노의 가르침 2023. 8. 29. 14:10
9번째 필사 2022 미래를 미리 계산하지 마라 19세기말 프랑스의 사회학자 에밀 뒤르켐은 에서 자살을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자신이 속한 사회 집단에 통합되지 못했기 때문에 소외감이나 우울증으로 하게 되는 자살(이기적 자살), 자신이 속한 집단에 지나치게 융합·결속되어 집단을 위해 희생적으로 하는 자살(이타적 자살), 개인이 사회에 대한 적응이 갑자기 차단·와해되면서 삶의 기준을 상실할 때 발생하는 자살(아노미 annomy 자살)이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자살은 아마도 이기적 자살과 아노미 자살이 혼합된 것인 듯싶다. 자살에 대한 이야기를 서두로 꺼낸 것은 내가 20대 초에 그런 경험을 세 번 겪었기 때문이다. 약을 먹기도 했지만 며칠 후 깨어난 적도 있고, 손목에 면도칼을 깊게 긋기도..
-
세이노의 가르침>1부 앞길이 보이지 않을 때(8번째 필사)세이노의 가르침 2023. 8. 24. 11:57
세이노의 가르침 8번째 필사 2022 실패하면 제로 점으로 내려가라 왜 큰 부자들은 대부분 하나같이 가난하였던 과거를 갖고 있을까? 어째서 중산층 이상의 가정에서 태어나 부자가 된 사람들보다는 하류층에서 태어나 큰 부자가 된 사람들의 수가 압도적으로 더 많은 것일까?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중요한 사실은, 가난을 일찍 경험한 사람들은 가난하였던 생활 수준이 출발점이었기에 그곳으로 언제라도 '되돌아가는 것'을 부끄럽지 않게 생각한다는 것이다. 그들은 일이 잘못되어 갖고 있던 것을 모두 다 날리는 실패를 당하게 되어도 제로 점으로 '되돌아가' 재출발을 할 줄 안다. 수없이 많은 부자들이 사업이나 투자에서 실패하거나 홍수나 화재 등으로 전 재산을 날렸다가도 재기에 성공하는 이유가 바로 거기에 있다. 그러나..
-
세이노의 가르침>1부 앞길이 보이지 않을 때(7번째 필사)세이노의 가르침 2023. 8. 17. 20:23
세이노의 가르침 7번째 필사 2022 스트레스의 뿌리를 없애라 미국 잡지 '직업 등급 편람'에 의하면 미국의 2000년도 인기 직업 순위에서 대통령이 167위로 나타났다. 이는 '대통령이 과다한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이 잡지는 매년 노동부와 통상단체들이 자료와 전화조사 등을 토대로 250개 직업의 순위를 매기고 있다. 인기 직업순위 1위는 1999년 17위였던 전문재산관리자가 차지했으며 가장 호감도가 낮은 직업은 어부인 것으로 조사됐다. 99년 1위였던 컴퓨터 웹 마스터는 2위로 떨어졌다. 교사는 119위, 경찰관은 200위로 나타났는데 낮은 임금과 열악한 근무 여건이 주원인이라고 한다. 하지만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직업이 있을까? 암 치료 전문 의사들은 암 정복을 위한 필수 요소들 중의 ..